도메인네임, IP주소 등 인터넷의 고유 식별자 시스템에 대한 국제정책 결정하고, IETF의 프로토콜 파라미터 레지스트리 등을 관리
- 인터넷주소자원을 실질적으로 관리·운영하는 기관으로, ’16.9월 까지는 ICANN 內 IANA 부서에서 관리 하였으나, ’16.10월부터 ICANN 계열사인 PTI(Public Technical Identifiers)에서 운영
- IP주소/AS번호 최상위 구역 할당, 최상위 도메인 DNS 변경 및 생성, 인터넷 프로토콜 내 고유 식별자 리스트 관리
- 인터넷 프로토콜 등 폭넓은 인터넷 표준 개발 및 홍보
- IETF에서 제정하는 문서는 사람들의 인터넷 디자인, 사용, 관리에 영향을 미침
- ISOC의 산하기구로 IAB(Internet Architecture Board, 인터넷구조설계위원회)의 감독하에 운영됨
광범위한 분야의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특히 공식 명칭, 국가별 우편번호, 속령, 지리적 중요도에 의한 특별지역 제정 등에 대한 국제 표준화를 추진함
AIP주소 국제정책협의체로 RIR 협의체
- 5개 대륙별 IP주소 관리기구들(RIR)을 관할하는 단체이며, RIR는 대륙별 IP주소, AS번호 등을 분배 및 관리함
- APNIC(아시아태평양), ARIN(북미), LACNIC(남미), RIPE NCC(유럽), AfriNIC(아프리카)
AFRINICwww.afrinic.net
APNICwww.apnic.net
ARINwww.arin.net
LACNICwww.lacnic.net
RIPE NCCwww.ripe.net
최상위도메인 운영기관
- 최상위도메인에 대한 관리 권한을 위임받은 기관으로 일반최상위도메인(.com, .edu, .info, .name 등), 국가최상위도메인(.fr, .us, .gh, .cn 등), 다국어도메인(중국어, 한국어, 아랍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등)을 운영함
12개의 독립기관에서 총 13개의 네임서버를 운영함(A루트서버~M루트서버. 네임서버는 전 세계 여러 국가에 설치된 수백 개의 물리적 서버 네트워크를 의미함
국제 웹 표준화 단체로 회원 단체, 전임 직원 및 일반 대중이 함께 협력하여 웹 표준을 개발함
- W3C의 임무는 웹 개발 잠재력을 최대치로 이끄는 것임